고사성어 사자성어 뜻 과 유래 오늘은 망운지정 입니다. 망운지정 ( 望雲之情 ) 望 ( 바라볼 망 총 11 획 ) 雲 ( 구름 운 총 12 획 ) 之 ( 어조사 지 총 4 획 ) 情 ( 뜻 정 총 11 획 ) 망운지정 뜻은? 구름을 바라보며 느끼는 마음이라는 뜻이며. 자식이 부모님을 객지에서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출전 : 당서(唐書) 망운지정 유래? 당나라에는 명재상인 적인걸 이라는 사람이 고종 때 관리로 일할때 1년 동안 잘못된 재판을 다시 하고 강남순무사 일때는 민심을 미혹 하거나 음란한 사당을 없애고 예주자사로 있을 때는 무고한 사형수 들을 구제해 백성들로 부터 칭송을 들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를 시기 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후일 간신들의 모함으로 측천무후에 의해 투옥 되었습니다..
고사성어 사자성어 뜻 과 유래 오늘은 풍수지탄 입니다.풍수지탄 ( 風樹之嘆 )風 ( 바람 풍 총 9 획 )樹 ( 나무 수 총 16 획 )之 ( 어조사 지 총 4 획 )嘆 ( 탄식할 탄 총 14 획 ) 풍수지탄 뜻은?바람 과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이며 부모님이 이미 돌아가셔서 효도를 다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입니다. 출전 : 공자가어 (孔子家語)풍수지탄 유래?공자는 뜻을 펴기 위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다 제나라 에서 몹시 슬피 우는 사람을 만났습니다. 그 사람은 우는 까닭이 세가지 잘못을 저질러 울고 있다고 했습니다. 첫째는 공부를 하기 위해 집을 떠났다 고향으로 돌아 오니 부모는 이미 세상을 떠나신 것이고 둘째는 섬기던 군주가 사치만 좋아하여 충언 했지만 듣지 않아 그 군주를 떠난 것이요. 셋째..
고사성어 사자성어 뜻 과 유래 오늘은 조강지처 입니다.조강지처 糟(지게미 조) 糠(겨 강) 之(어조사 지) 妻(아내 처) 조강지처 뜻은?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으며 같이 고생한 아내를 이르는 말 어렵고 힘들때 옆에서 함께 고생한 아내를 말한다.출전 : 후한서(後漢書)조강지처 유래?후한을 세운 광무제는 그의 누이가 일찍 남편을 잃고 홀로 지내는 것이 마음에 걸렸습니다. 그래서 마땅한 사람이 있으면 시집을 보낼려고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누이에게 물어 보니 흠모 하고 있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대사공 송홍으로 당당한 풍채와 덕성을 지니고 있고 온후 하고 강직한 성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광무제는 황제였지만 직접 말하기 곤란하여 마침 편전에 송홍이 오자 누이를 병풍 뒤에 숨게 하고 송홍과 애기를 하는것을 듣..
고사성어 사자성어 뜻 과 유래 오늘은 운우지락 입니다.운우지락 雲(구름 운) 雨(비 우) 之(어조사 지) 樂(즐거울 락) 운우지락 뜻은?구름과 비의 즐거움이란 뜻으로 남녀 간의 사랑을 이르는 말입니다.출전 : 문선(文選)운우지락 유래?전국시대 초나라의 양왕은 이송옥과 함께 운몽 이라는 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고당관에 도착 하였습니다. 그때 하늘을 보니 구름의 형상이 이상하여 저 구름이 무엇이냐 라고 물어 보니 송옥은 이렇게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옛날 고당관 에서 어떤 왕이 연회를 재미있게 즐기다가 낮잠을 잠시 자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꿈속에서 고운 목소리가 들려 보니 아름다운 여인이 말했습니다. 소첩은 무산에 사는 여인 입니다. 고당관에 전하께서 왔다는 말씀을 듣고 침석을 받들고자 왔다고 말했습니다. 왕..
고사성어 사자성어 뜻 과 유래 오늘은 가인박명 입니다.가인박명 佳(아름다울 가) 人(사람 인) 薄(메마를 박) 命(운명 명) 가인박명 뜻은?재주가 많고 아름다운 사람은 명이 짧고 운명이 기박함을 뜻한다.여자의 용모가 너무 아름다우면 운명이 명이 짧고 운명이 기박 하다는 말 출전 : 소식(蘇軾) 박명가인(薄明佳人)가인박명 유래?중국 송나라 문인인 동파 소식의 시에 가인박명 이라는 시가 있습니다. 이 시는 소식이 항주 양주 등에서 지방 장관으로 있을 때 절에서 지었습니다. 절에서 우연히 만난 아흔이 이 넘은 한 여승을 보고 젊은 날 아리따웠을 소녀 시절을 회상 하며 파란만장한 여승의 삶을 짐작해 자신의 운명과 대비 시켜 쓴 작품 입니다. 이 가인박명은 칠언율시로 되어 있으며 원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雙頰凝수..
고사성어 사자성어 뜻 과 유래 오늘은 문경지교 입니다. 문경지교 刎(목맬 문) 頸(목 경) 之(어조사 지) 交(사귈 교)문경지교 뜻은?친구를 위해 목을 베어 줄 수 있을 정도의 절친한 사귐 이라는 뜻이며 생사를 함께 할 수 있는 소중한 벗을 말합니다. 출전 : 사기(史記)문경지교 유래?전국시대 조나라에는 인상여 와 염파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인상여가 공을 세워 지위가 높아질수록 염파는 불만이 커졌고 인상여를 망신을 주기 위해 벼르고 있었습니다. 염파는 나는 조나라의 장군이 되어 적과 싸워 성 과 요새를 지켜 큰 공을 세웠다. 그렇지만 인상여는 세치혀와 입만으로 나보다 높은 지위가 되었다. 또한 인상여는 미천한 출신이여서 나는 그가 부끄러워 인상여 밑에 있을수가 없다. 그를 보면 반드시 욕을 보이겠다 라..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